본문 바로가기
부동산&재테크

KB K 패스카드 할인 및 사용 팁 정리하기

by 따뜻따뜻함 2025. 6. 8.
728x90

 

 

안녕하세요, 아등이바등이예요. 최근에 제가 기후동행카드에서 K패스카드로 갈아탔어요. 원래 직장에서 꽤 떨어진 곳에 살았는데 이사를 하면서 교통비가 기후동행카드의 가격인 62,000원 이내로 줄었거든요. 

 

*기후동행카드: 월 62000원에 무한대로 버스와 지하철 이용(따릉이 제외, 따릉이 포함권은 65,000원)

K패스카드도 혜택이 큰 편인데요. 제가 사용해보니 환급금이 현금으로 제 계좌로 들어와서 기분이 좋더라고요.

 

 

 

 

그래서 다둥이 할인이 있는 K패스카드로 갈아탔어요. 우선 K패스카드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해드릴게요. 

 

K패스카드 지급기준

 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 적립금을 환급해줘요. 

  일 2회 초과 이용하면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만 적립금을 쌓아줘요.

  월 60회 초과 이용했다면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적립금을 환급해줘요. 

 

K패스카드 적립률

  일반인은 20%를 적립해줘요. 단순 계산으로 월 1만원을 사용했다면 2000원을 돌려주는거죠. 

  만 19세~34세는 30%를 적립해줘요. 단순 계산으로 월 1만원을 사용했다면 3000원을 돌려주는거고요. 

  저소득층은 53%를 적립해줘요. 저소득층 기준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말해요. 

  다자녀 부모- 2자녀는 30%를, 3자녀는 50%를 돌려줘요. 

 

저는 아이가 둘 있어서 30% 할인에 해당되는데요. k패스 홈페이지에 가서 보니 지하철을 1회 사용할 때마다 매번 30%씩 적립된 게 나오더라고요. 이렇게 적립해 둔 돈을 다음달에 제 계좌에 한번에 넣어준 거예요. 

 

 

K패스카드 적립금 환급 받으려면? 

1. K 패스카드를 발급받아요.

2. K-패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해요. (https://korea-pass.kr/)

3. 발급받은 K패스카드를 K패스 홈페이지에서 등록하면 끝!

 

 

이번에 제가 소개하려는 카드는 KB국민카드의 KB K-패스카드예요. 

 

 

 

이 카드를 고른 이유는 크게 3가지예요. 

1. 연회비가 낮다.

2. 교통비를 추가 할인해준다.

3. 혜택을 받기 위한 전월 이용실적이 낮다.(30만원)

 

사실 이 카드가 베스트인지는 아직 확신이 서지 않지만요. 이미 연회비가 높은 카드를 쓰고 있어서 연회비가 낮은 카드를 찾은 거예요.

 

이 카드의 혜택을 상세히 살펴볼게요.

 

우선 연회비는 국내전용이든 비자(VISA)든 8,000원으로 동일해요. 에어비앤비나 알리익스프레스처럼 해외 사이트에서 사용할 카드가 필요하다면 비자 카드를 발급, 해외 사이트 사용이 필요 없다면 국내전용을 쓰는 게 나아 보여요. 

 

청구할인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크게 3가지로 나뉘어요.

단, 전월 실적 30만원을 채워야 해요. 만약 할인을 받은 게 있다면 전월 이용 실적에서 제외된다는 점 기억해두세요. 즉 교통비, 통신비 할인을 받았다면 해당 금액은 실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거예요.

 

전월 이용실적 제외 대상

KB K-패스카드로 청구할인 받은 전체 이용건 
- 대중교통 10% 할인 받은 이용건 전액 → 실적에서 제외
- 통신료 5% 할인 받은 이용건 전액 → 실적에서 제외
- 생활서비스 할인 받은 이용건 전액 (커피, 약국, 편의점, 영화, 패스트푸드 전부) → 실적에서 제외

 

기타 일반적 제외 항목
현금서비스, 카드론
아파트관리비, 학교납입금, 대학등록금
정부지원금, 각종 세금·공과금, 4대보험료
각종 수수료·이자·연체료·연회비
상품권/선불카드 구입·충전금액
무승인전표 (대중교통 단말기 찍은 것 포함)
취소금액

 

다시 본론으로 돌아와, 청구할인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크게 3가지로 나뉘어요. 

1. 대중교통 할인 (버스/지하철) : 10%  (최대 5,000원)

2. 생활서비스 할인 : 5% (최대 5,000원)

3. KB 페이 추가할인: 생활서비스 할인 영역에서 KB 페이 이용시 추가 할인 5% (최대 5천원)

 

제 경우, 4월 중순에 카드를 발급받았는데요. 아래와 같이 교통비 할인을 받았어요.

생활 서비스 할인은 △통신료 △ 커피 △ 약국 △ 편의점 △ 영화 △ 패스트푸드 영역에서 건단 1만원 이상 사용하면 5%, 최대 5천원을 할인 받을 수 있는데요.

 

만약 통신비를 자동이체로 해두면 통신료가 만약 5만원 이상 나올 시 최대 50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어요.

KB K-패스 카드로 교통비를 5만원 이상 쓰고, 통신비 5만원 이상 사용하면

교통비 + 통신비로 총 1만원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.

 

단, 통신비는 자동이체인 만큼 KB 페이 5%할인까지는 받을 수 없다는 계산이 나와요. 

실제 매장에서 KB페이로 결제할 때 사용해야 인정받기 때문이에요. (온라인으로 해당 영역에서 KB페이를 사용할 때 할인 받을 수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어요.)

 

저 같은 경우는 △ 커피 △ 약국 △ 편의점 △ 영화 △ 패스트푸드 영역에서 건당 1만원 이상 사용할 일이 많지 않아서 우선 통신비 자동이체를 설정해두긴 했어요. 

 

그런데 '3. KB 페이 추가할인: 생활서비스 할인 영역'  5%까지 추가 5천원 할인을 받고 싶다면 알아둘 게 있어요.

 

△ 커피 △ 약국 △ 편의점 △ 영화 △ 패스트푸드 영역에서 5만원은 사용해야 한다는 거예요.

 

왜냐하면 5%로 5천원을 받는 거라, 5만원을 채워야한다는 계산이 나오죠. 

 

만약 1만원씩 사용한다면 커피 1만원, 약국 1만원, 편의점 1만원, 패스트푸드 1만원, 영화 1만원을 통신비 자동이체 전에 KB페이로 결제한다면 가능한 플랜일수도 있어요. 그러면 생활영역 5%와 추가 할인 5%로 총 1만원 할인받을 수 있어요.

 

만약 통신비 자동이체 전에 생활영역에서 1만원 이상 사용한다면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. 

 

통신비 자동이체 이전에 커피를 1만원 KB페이로 계산하면 

 

생활영역 5%=500원 

생활영역 KB페이 할인 5%=500원

이렇게 돼서

교통비 5000원 할인 +  생활영역 500원 할인 + 추가할인 500원 + 통신비 4500원  =10500원 할인 받는 셈이죠.

 

통신비와 교통비로 1만원 할인 받는 것보다 500원 더 할인 받을 수 있겠죠?

 

아무튼, 편의점이나 패스트푸드점을 자주 사용하는 게 아니라면 KB페이 추가할인을 받는 게 쉽진 않을 것 같아요.

 

요약하자면

 

▲ K-패스 적립금 환급을 받으면서 ▲ 연회비 8000원으로 ▲ 매달 '교통비+통신비= 1만원'을 할인 받는다 생각하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. 

▲ 단, 교통비와 통신비를 제외한 금액을 30만원 전월 실적으로 채워야 한다는 점, 잊지 마세요.  

▲ 이때 아파트관리비, 학교납입금, 대학등록금, 정부지원금, 각종 세금·공과금, 4대보험료 등은 전월 실적에 포함되지 않아요. 

 

728x90

댓글